목록전체 글 (332)
민프

코로나가 쏘아올린 변화 첫째, 비대면이 강제되는 상황 속에서 언택트로의 전환을 신속하게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서도 콘택트 요소와 조화를 놓치지 않았다. 둘째, 감염의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소비자의 불안감을 적절한 안전거리의 확보를 통해 상쇄하고자 했다. 셋째, 프리미엄 트렌드에 맞춰 고급화할 수 있는 요소는 업그레이드했다. 5060세대의 언택트 소비 경험 확대 아래 사진과 같이 기존에는 5060세대 소비자들의 배달앱, 온라인 쇼핑 이용 건수 및 금액이 2030세대 소비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했다. -> 5060세대가 앱 사용 능력이 증가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5060을 위한 앱을 만들어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 이 있다는 것 이라고 생각한다. 소비자와의 안전거리 확보 이번에..
비건은 식습관 문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ex) 친환경소재 - 가방 소재, 자동차 인테리어 소재 등등.. ex) 여행 비건 - 먹고 자고 이동하고 노는 모든 과정에서 비거니즘을 따지는 것이다. 동물 실험을 하지 않고 만들어진 샴푸와 린스를 제공하고, 그마저도 일회용품 형태가 아니며, 침구나 실내 인테리어에서 가죽, 울 양모 등을 대신해 비건 레더나 식물성 소재를 쓰고, 전기도 재생 가능 에너지를 쓰고 객실을 청소할 때도 친환경, 동물 윤리에 부합하는 제품들만 쓰는 호텔(호텔업계의 비건 프렌들리) 이 계속 만들어진다. 이동 시 탄소 배출이 훨씬 많은 비행기 대신 기차를 적극 이용하고, 전기차를 렌트하며, 도보나 자전거를 적극 이용하는 것도 비건 친화적 여행이다. ex) 여행 코스 비건 - 동물을 강제로..
쓰레기 관련 어플은 어떨까? 이유? 코로나로 인한 쓰레기가 급증 2020~2021년에는 뉴 노멀 이었다면 이제는 베터 노멀 시대이다. 뉴 노멀은 우리의 기준이자 정상이라고 여겼던 기존 것들을 순식간에 구시대의 유물이나 비정상으로 만들어 버린다. 새로운 것은 정상이고 과거의 것은 비정상이 되는, 한마디로 판이 바뀌는 것 이다. 새롭다고 더 좋고 이로운 건 아니다. 우리는 변화에 대한 수동적 대응이 아니라 적극적, 능동적 대응으로 베터 노멀 라이프를 찾으려 한다. 즉 우리는 뉴 노멀에서 베터 노멀을 찾아내는 정부가 필요하다. -> 코로나 시작 이후 모든 것이 새로웠던 뉴 노멀 시대와 다르게 요즘은 적응이 되었다. 코로나와 어떻게 공생해야할지 말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어떻게 베타 노멀 라이프를 찾으면 좋을..
mImageView.setOnTouchListener { v: View, event: MotionEvent -> when(event.action) { MotionEvent.ACTION_DOWN -> { moveX = v.x - event.rawX moveY = v.y - event.rawY } MotionEvent.ACTION_MOVE -> { v.animate() .x(event.rawX + moveX) .y(event.rawY + moveY) .setDuration(0) .start() } } //리턴값은 return 없이 아래와 같이 true // or false }

급속 실험이란 빨리 배움으로써 더 많이 배우는 것은 급속 그로스 해킹 절차의 목표임과 동시에 그로스 해킹에서 얻는 엄청난 혜택이다.실험에서는 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부분의 실험이 기대한 결과를 내는 데 실패하기 때문이다.그로스 해킹에서의 큰 성공은 상당한 시간에 걸쳐 축적된 일련의 소소한 성공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잊지 말자. 그 과정에서 얻은 배움들이 더 나은 성과와 더 나은 실험 아이디어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더 많은 성공을 이루어서 결국은 작은 향상들이 압도적인 경쟁 우위로 변화한다. 갈수록 빨라지는 속도 초기 단계에 있는 스타트업은 일주일에 한두 개 정도 의 실험을 시작하는 데 그치겠지만 차츰 양이 늘어날 것이다. 천천히 시작했다가 새로운 절차에 익숙해졌을 때 속도를 높일 것을 권한다. 처음..

- 성장 전략 해킹하기 - '아하 순간'을 만들고 더 많은 사람들이 그 순간을 느끼도록 하는 일이 그로스 해킹의 출발점이라면 다음 단계는 성장 전략을 결정하는 것이다. 즉, 성장의 지렛대는 무엇이고 바라는 결과를 달성하는 데 그 지렛대가 적절한지 파악해야만 한다. - 필요로 하는 종류의 성장은 무엇이고 그런 성장을 촉진하는 지렛대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일에는 철저하게 과학적인 입장을 견지해야한다. - 그로스 해킹은 급속 실험을 적용해서 가장 유망한 기회가 있는 영역을 찾아 최적하는 일이다. - 파급 효과가 속도에 미치는 영향 실험 - 파급 효과가 큰 실험은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잠재력도 있어야 하지만 확실한 결과를 빨리 내놓아야 한다. 이 부 분은 제대로 인식하기가 다소 어렵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그로..

결론. 사용자에게 '아하 순간'을 전달하는 것은 향후의 성장을 위한 강력한 토대를 구축하는 데 대단히 중요하다. 그로스 해킹 전문가인 제임스 커리어는 기업이 엔지니어링에 투자하는 시간 중 3분의 1은 NUX를 적절히 만들어내는 일에 할애해야 한다고 말한다. 열성적인 사용자 시장과 '아하 순간'을 발견했다면, 고속의 성장을 만들 토대를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일에 나설 차례이다. (다음장) 머스트 해브 제품 인가? 고객들의 눈에 '꼭 가지고 싶은 것 (Must Have)'으로 비치는 제품 인가? '머스트 해브' 제품을 만드는 것은 매우 쉽지 않은 일이다. 목표로 하는 시장에서 호감도 얻지 못하고 심지어는 이해조차 할 수 없는 제품에 더 많은 고객을 끌어오기 위해 자원과 인력을 쏟아붓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
var bitmap = MediaStore.Images.Media.getBitmap(contentResolver, uri) var inPutStream:InputStream = contentResolver.openInputStream(uri)!! var exif : ExifInterface? = null try{ exif = ExifInterface(inPutStream) }catch (e: IOException){ e.printStackTrace() } val manufacturer = exif?.getAttribute(ExifInterface.TAG_MAKE) val cameraModel = exif?.getAttribute(ExifInterface.TAG_MODEL) val orientation =..
Handler(Looper.getMainLooper()).postDelayed({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