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프
PSAR(Parabolic SAR) 파라볼릭 SAR 본문
RSI, ATR 등의 창시자로 알려진 J. Welles Wilder에 의해 고안되었고, 1978년, 그의 저서인 “New Concepts in Technical Trading Systems”에서 ‘Parabolic time/price System’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Parabolic_SAR
Parabolic SAR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In stock and securities market technical analysis, parabolic SAR (parabolic stop and reverse) is a method devised by J. Welles Wilder Jr., to find potential reversals in the market price direction of traded goods such
en.wikipedia.org
먼저 결론적으로 파라볼릭 SAR 개념은
추세전환시점을 파악할 목적으로 만들어졌고, 기존의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그럼 SAR은 무엇일까?
“SAR은 스톱과 리버스를 의미한다. 이는 롱 트레이드가 끝나고 숏 트레이드가 시작되거나 반대의 경우가 시작되는 지점이다” - 와일더가 얘기한 SAR의 개념입니다.
- PSAR지표를 추가했을 때 점에 대한 상승 추세와 하락 추세 (아래 사진 참고)
- 상승 추세 = 점이 가격 아래에 표시
- 하락 추세 = 점이 가격 위에 표시
- 즉, 시장 추세가 있는 경우 활용도가 올라가며, 추세가 없는 경우에는 활용성이 떨어짐.
- https://kr.tradingview.com/chart/BTCUSDT/pdaOjJVF/
- 계산식
- ① 상승 추세 계산
SAR = 이전 SAR + 가속변수 (AF) x (이전 EP - 이전 SAR) - ② 하락 추세 계산
SAR = 이전 SAR - 가속변수 (AF) x (이전 SAR - 이전 EP) - AF, EP의 뜻?
- AF : AF(Accleration Factor) = 가속요소
- EP : EP(Extreme Point) =극단점 (최저와 최고 일 때 SPOT이 찍히게 되는데 그때의 수치)
- ① 상승 추세 계산
- 첫 방향의 결정
- 파라볼릭 SAR은 첫방향을 어떤 방향으로 정할 것인지와 언제 방향을 전환할지 계속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게 되는데
- 둘째 날을 기준으로 hight과 lOW를 설정하게 되는데요 hight, low값은 당일 고가, 전일고가에 따라서 설정
- HIGH의 값은 만약 당일 고가가 전일고가 이상이면
당일 고가 - 전일 고가를 해서 high값을 지정,
미만이면 0 값으로 지정 되게 된다. - LOW값은 만약 전일 저가가 당일 저가 이상이라면
전일 저가 - 당일 저가를 해서 LOW 값을 지정,
전일 저가가 당일 저가 미만일 경우
0값으로 지정 되게 된다.
- HIGH의 값은 만약 당일 고가가 전일고가 이상이면
- 둘째 날을 기준으로 hight과 lOW를 설정하게 되는데요 hight, low값은 당일 고가, 전일고가에 따라서 설정
- 파라볼릭 SAR은 첫방향을 어떤 방향으로 정할 것인지와 언제 방향을 전환할지 계속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게 되는데
- 방향 전환
- 방향 전환이 되는 것은
상승 방향으로 진행중일 떄, 새롭게 계산된 PSAR이 당일 저가보다 높다면, 하락 방향으로 전환되고,
하략 방향으로 진행중일 때, 새롭게 계산된 PSAR이 당일 고가보다 낮다면, 상승 방향으로 전환된다.
- 방향 전환이 되는 것은
'[기타] > [거래소 및 코인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차트 각 지표 데이터 얻을 수 있는 API들 (0) | 2023.04.18 |
---|---|
볼린저밴드란?(Bollinger Bands) (0) | 2023.04.18 |
RSI란 무엇일까? (0) | 2023.04.18 |
MACD란 무엇일까? (0) | 2023.04.18 |
OBV(On Balance Volume)란? (0) | 2023.04.18 |
Comments